비타민 B2(리보플라빈)의 섭취방법 및 결핍 시 증상

반응형

견과류는 대표적인 비타민 B-2 강화 식품이다.
비타민 B 강화 식품

비타민 B2의 섭취방법 및 권장량

비타민 B2는 자연적으로 음식에 존재하며, 음식에 첨가되고, 보충제로 이용할 수 있다. 비타민 B2가 풍부한 음식으로는 우유, 요구르트, 달걀, 연어, 고기, 치즈, 콩, 버섯 등 이 있다. 내장에 있는 박테리아는 적은 양의 비타민 B2을 생산할 수 있지만, 식이 요법을 충족시키기에 충분하지 않다. 비타민 B2는 세포의 성장, 에너지 생산 그리고 지방, 스테로이드, 약물의 분해와 관련된 효소의 중요 구성 요소이다. 대부분의 비타민 B2는 즉시 사용되며 체내에 저장되지 않기 때문에 과도한 양을 섭취할 경우 소변으로 배출된다. 보통 보충제에서 나오는 비타민 B2의 과다 섭취는 소변을 밝은 노란색으로 만들 수 있다. 비타민 B2의 권장량은 미국 RDA기준 일일 성인 남성 1.3mg, 성인 여성 1.1mg이다. 임신한 여성의 경우 매일 1.4mg~1.6mg으로 늘어난다. 하지만 고용량으로 장기간 섭취할 경우 독성 수준이 관찰되지 않았기 때문에 일일 허용 가능한 상한 섭취량은 정해지지 않았다.

비타민 B2의 기능

비타민 B2는 몸 전체에 걸쳐 다양한 일상적 기능을 하는 많은 효소를 보조하기 때문에, 결핍은 건강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동물 연구는 뇌와 심장 질환과 일부 암이 장기적인 비타민 B2 결핍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편두통

비타민 B2는 편두통의 원인인 산화 스트레스와 신경의 염증을 줄이는데 효과가 있다. 편두통은 때때로 뇌의 미토콘드리아 이상으로 인해 발생한다. 따라서 비타민 B2는 편두통을 예방하기 위한 예방 요법으로 연구되어 왔다. 한 연구에서 편두통이 있는 성인 55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대조 실험을 통해 매일 400mg의 비타민 B2 또는 위약을 투여하고 4개월 동안 추적 관찰했다. 비타민 B2는 위약에 비해 편두통 발작 빈도를 월 2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소 3개월 사용 후 최대의 효과를 나타낸다고 한다. 편두통 예방 치료제로서 비타민 B2에 대한 여러 임상시험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 결과, 유익성이 있는 실험은 성인과 어린이의 편두통 빈도가 약간 감소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성인의 경우 일반적으로 하루에 400mg, 어린이의 경우 3개월 동안 매일 200mg의 용량을 투여했다. 이 외에 부정적인 결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미국 신경학회 등 품질기준 위원회는 비타민 B2이 편두통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라고 결론짓고 보완적 치료제로 사용하는 것을 승인했다.

심혈관계 질환

비타민 B2는 몸 전체에 걸쳐 다양한 일상적 기능을 하는 많은 효소를 보조하기 때문에, 결핍은 심혈관계 질환 등 건강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비타민 B2는 고기와 같은 동물성 단백질 음식에서 섭취 가능한 아미노산인 호모시스테인의 순환 수준을 조절한다. 혈중 수치가 높으면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 요소로 작용한다. 비타민 B2는 체내에서 호모시스테인을 분해하기 위해 B6, 엽산, 그리고 B12와 같은 다른 비타민 B와 함께 작용한다. 동물 연구는 비타민 B2 결핍 설치류에서 심장 이상과 심 잘 질환에 대한 바이오마커 증가뿐만 아니라 항산화 효소 생산을 증가시켜 비타민 B2의 심폐 보호 효과를 보여준다. 그러나, 비타민 B2가 어떻게 인간의 심장에서 조절되고 운반되는지는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역학 연구는 비타민 B 보충제로 호모시스테인 수치를 낮추면 심장마비나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줄어든다는 것을 증명하지 못했다.

섭취 가능한 식품 및 결핍 시 증상

비타민 B2는 주로 고기, 우유와 시리얼과 같은 강화식품에서 섭취할 수 있지만 일부 견과류와 녹색 채소에서도 발견된다. 갑상선의 장애는 결핍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비타민 B2 결핍증은 매우 드물다. 결핍 증상으론 갈라진 입술, 인후염, 입과 목의 붓기 등 감기와 유사한 증상과 탈모, 빈혈 등 이 있다. 채식주의를 지향하는 사람들이나 유당 불내증이나 육류를 거의 섭취하지 않는 경우 결핍이 초래될 수 있다. 참고로 비타민 B2와 같은 비타민은 빛에 노출될 경우 비활성화될 수 있다. 그래서 우유와 같은 식품은 일반적으로 빛을 차단하기 위해 상자나 불투명한 용기에 담겨 판매된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